반응형

1) Ctrl+P

   -> 파일검색

2) Ctrl+Shift+P

   -> 명령어 검색

3) Ctrl+,

   -> 설정화면

4) Ctrl+`

   -> 터미널창 활성화, ` 1번키 왼쪽에 있는 키

반응형
반응형

1) flutter pub add "패키지명"

   -> ex : flutter pub add get

       (getx 패키지 추가 명령어)

2) flutter pub get

   -> pubspec.yaml에 추가한 패키지 설치하는 명령어

3) flutter doctor

   -> flutter 개발환경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4) flutter clean

   -> 뭔가 이상하다 싶으면 한번씩(?)

5) flutter devices

   -> 개발가능한 디바이스 리스트 (ex:android, windows...)

6) flutter --version

   -> 버전 확인, dart 버전 확인은 "dart --version"

7)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 flutter doctor 했는데 Android toolchain 에러발생했을 때 사용

8) flutter upgrade

   -> flutter를 업그레이드 함

반응형
반응형

Warning: Mapping new ns http://schemas.android.com/repository/android/common/02 to old ns http://schemas.android.com/repository/android/common/01

...

프로젝트의 android/build.gradle 파일 수정 (2022/02/18 기준)

classpath 'com.android.tools.build:gradle:7.0.2'

 

프로젝트의 gradle-wrapper.properties 파일 수정(2022/02/18기준)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7.0.2-all.zip

반응형
반응형

※ console(cmd) Windows Terminal기반, VS Code 사용

1. 프로젝트 만들 폴더로 이동

2. flutter create --org "서비스명으로 사용할 이름" --platforms "지원할 플랫폼" "프로젝트명

   -> ex : flutter create --org com.blahblah.com --platforms android,ios test_project

3. 만들어진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 ex : cd test_project

4. VS Code로 프로젝트 실행 : code . (쩜까지 쳐야 함)

 

아직 외우지를 못해서 정리 차원에서 올려놓음

반응형
반응형

Process[] processes = null;

string strCurrent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ProcessName.ToUpper();

processes = Process.GetProcessesByName(strCurrentProcess);

if (processes.Length > 1)

{

         MessageBox.Show(string.Format("'{0}'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 중입니다.", rocess.GetCurrentProcess().ProcessName));

         return;

}

반응형
반응형

냉무

반응형

'개인공간 > 부릉부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틴팅] 루마 vs 레인보우  (0) 2020.07.19
[타이어] 사이즈  (3) 2016.06.12
[소모품] 교체시기, 교환주기  (0) 2016.03.21
반응형

루마 버텍스 vs 레인보우 v90

v90이 좋음

 

 

반응형

'개인공간 > 부릉부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박스] 아이나비 qxd 5000  (0) 2020.07.19
[타이어] 사이즈  (3) 2016.06.12
[소모품] 교체시기, 교환주기  (0) 2016.03.21
반응형

1. 저장소 업데이트

 - yum install epel-release -y

2. node.js, npm 설치

 - yum install npm nodejs -y

 - 업데이트

   -> yum update openssl

   -> npm cache clean -f

   -> npm install -g n stable (안정화 버전)

   -> reboot

3. pm2 설치

 - npm install pm2 -y

4. ftp 설치

 - 설치 유무 확인(#ps -ax | grep vsftpd)

    (#yum installed | grep vsftpd)

 - 설치(#yum install vsftpd -y)

4-1. ftp 설정

 - vi /etc/vsftpd/vsftpd.conf

 - :set nu (vi 진입상태 줄번호 표시)

 - 변경 anonymous_enable=NO

 -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접속 허용 계정 리스트 확인)

 - listen=YES

 - listen=ipv6=NO

 - :wq로 저장 후 종료

 - vi /etc/vsftpd/chroot_list 접속 허용 계정 리스트 생성

 - 계정 추가(root) : 일단은 root만 추가

4-2. ftp 방화벽 설정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tcp

 - firewall-cmd --reload

4-3. ftp selinux 해제

 - vi /etc/selinux/config

 - SELINUX=enforcing -> SELINUX=disabled

4-4. ftp 데몬 재시작

 - systemctl enable vsftpd

 - systemctl restart vsftpd

 - ps -ax | grep vsftpd

4-5. root 접속 허용

 - vi /etc/vsftpd/ftpusers : root 삭제

 - vi /etc/vsftpd/user_list : root 삭제

4-6. 재부팅시 자동시작 설정

 - chkconfig vsftpd on

 - chkconfig --list | grep vsftpd

4-7. 계정 추가

 - ftp계정은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리눅스 계정과 연결된다.

 - 리눅스 계정을 추가하면 된다.

 - ID 생성 : useradd testuser

 - PW 설정 : echo 'PA$$word' | passwd --stdin testuser

반응형
반응형

# cat /etc/*-release | uniq

반응형
반응형

YUM :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

※ 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버전

 

yum repolist : 저장소 리스트 확인

 

epel-release 패키지 : 최신 저장소 추가

 1) rpm -qa epel-release : 설치유무 확인

 2) yum list epel-release : 설치 가능한 패키지 리스트 확인

 3) yum install epel-release : epel-release 패키지 설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