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hub에 저장소 생성 - 사이트에서 저장소 생성 - public, private 중 선택 2. 로컬에서 폴더 생성 하고 git 생성 - ex) d:\project\test_proj - cd test_proj - git init 3. git pull origin main 해보기 4. main 브랜치로 변경 - git checkout -B main 5. 상태 확인 - git status 6. test_proj 폴더에 .gitignore 파일 생성 7. gitignore 파일 올리기 - git add -A 8. 커밋 - git commit -m "gitignore 파일 추가" 9. git 서버에 푸시 - git push && git status ========================== git..
나 혼자 개발해도 branch가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그냥 origin/master만 가지고 사용할 경우 복잡하게 사용할 일이 없음 요로케가 나의 한set ==================== git pull git status git add -A (전체가 아닌 파일명으로도 가능함 git add test.txt) git status git commit -m "블라블라" git push (또는 git push origin master) ==================== 줄여서도 가능함 ==================== git pull && git status git add -A && git status git commit -m '하하' && git push ==================== ※ ..
1. Node.JS 설치하기 - 노드 설치하기 2. Git 설치하기 - 링크 : https://git-scm.com/ 3. 프로젝트 폴더 생성 - ex) d:\project\electron_test 4. 프로젝트 폴더(electron_test)에 Electron 기본 템플릿 다운 - cmd 창에서 실행 - git clone https://github.com/electron/electron-quick-start - cd electron-quick-start - npm install 5. 프로그램 시작 - 프로젝트 폴더 cmd창에서 "npm start"
- Total
- Today
- Yesterday
- portrait
- tip
- windows
- prebuilt
- CentOS
- 몽고DB
- flutter_launcher_icons
- 단축키
- mariadb
- GIT
- MAC
- RDS
- Qt Creator
- 중곡동
- 독산시대
- 윈도우
- Android
- nodejs
- NPM
- 맥
- IOS
- AWS
- flutter
- 스마트포토
- 명령어
- vscod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EC2
- vs code
- electr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