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맨드 패턴의 개념 커맨드 패턴을 이용하면 요청하는 객체와 그 요청을 수행하는 객체를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여기서의 핵심은 분리시키기 위해 가장 필요한 커맨드 객체입니다.리시버의 행동들을 캡슐화합니다.Command Interface를 통해서 추상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각각의 Command들은 해당 리시버의 행동을 호출하게 됩니다.Undo(작업취소 메소드)를 구현함으로 작업 취소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요청하는 객체(인보커) 자체는 고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에 가장 중점을 두었습니다.요청하는 쪽과 수행하는 쪽을 분리시킴으로 느슨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클래스 다이어그램 3. 코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
1. SRP (The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단일 책임 원칙->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2. ISP (The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구현하지 말아야 한다.'하나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보다는 여러 개의 구체적인 인터페이스가 낫다' 3. DIP (The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의존관계 역전의 원칙-> 추상 클래스는 파생 클래스를 참조해서는 안된다.의존의 대상은 추상클래스나 인터페이스만 되어야한다.추상클래스도 파생클래스도 추상크래스에만 의존해야한다. 4. LSP (The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QtCreator을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것중 하나가 Visual Studio랑 다르게프로젝트를 다시 열면 열었던 파일이 전부 닫혀있다는 것이었습니다.그래서 찾아보니 Creator에서는 Sessions라는 걸 활용하면 된다고 하여 적용해보았습니다.VS만큼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안쓰는 것보다는 훨씬 편한듯합니다.기본적인 방식은 현재 상태가 선택된 session에 저장이 됩니다.1. 저장하고자 하는 Project를 Open합니다. 2. Session Manager...을 선택하여 창을 Open합니다. 3. 현재는 default session만 존재합니다. 4. Clone Button을 클릭하면 default를 기준으로 새로 session 추가가 가능합니다.저는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Project명과 동일하..
Visual Studio의 빌드속성 추가 하듯이 Qt Creator에서도 빌드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설정 내용은 xxx.pro파일에 추가가 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관리툴(SVN 등)을 이용할 경우 공유가 어려운 단점이 있음. -> Creator 좌측 "Projects" 탭에서 Debug 또는 Release를 선택 후 Clone Selected를 선택-> 추가할 빌드 환경 이름을 정의해 준다 -> 새로 추가한 빌드환경으로 선택 됨 -> 중간 영역에 있는 Build Steps의 Details를 클릭해서 config 추가 가능하도록 활성화 -> 활성화 된 영역에서 config 옵션을 추가한다 임의로 정하면 된다.-> Visual Studio의 (C/C++ -> 전처리기 정의)나는 빌드옵션명이랑 동일하게 deb..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
- Qt Creator
- 맥
- IOS
- 몽고DB
- AWS
- 중곡동
- Android
- flutter
- vs code
- mariadb
- 명령어
- NPM
- nodejs
- flutter_launcher_icons
- windows
- prebuilt
- 독산시대
- 스마트포토
- 단축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MAC
- tip
- vscode
- RDS
- EC2
- 윈도우
- portrait
- CentOS
- electr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