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기본 설정
1. 저장소 업데이트 - yum install epel-release -y 2. node.js, npm 설치 - yum install npm nodejs -y - 업데이트 -> yum update openssl -> npm cache clean -f -> npm install -g n stable (안정화 버전) -> reboot 3. pm2 설치 - npm install pm2 -y 4. ftp 설치 - 설치 유무 확인(#ps -ax | grep vsftpd) (#yum installed | grep vsftpd) - 설치(#yum install vsftpd -y) 4-1. ftp 설정 - vi /etc/vsftpd/vsftpd.conf - :set nu (vi 진입상태 줄번호 표시) - 변경 anon..
04.기타/운영체제
2019. 10. 16. 17:27
[Centos] 버전 확인
# cat /etc/*-release | uniq
04.기타/운영체제
2019. 10. 16. 14:03
[yum] 명령어
YUM :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 ※ 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버전 yum repolist : 저장소 리스트 확인 epel-release 패키지 : 최신 저장소 추가 1) rpm -qa epel-release : 설치유무 확인 2) yum list epel-release : 설치 가능한 패키지 리스트 확인 3) yum install epel-release : epel-release 패키지 설치
04.기타/운영체제
2019. 10. 16. 01:03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electron
- NPM
- prebuilt
- tip
- EC2
- RDS
- nodejs
- 몽고DB
- 맥
- CentOS
- flutter_launcher_icons
- flutter
- portrait
- windows
- GIT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단축키
- AWS
- 스마트포토
- Android
- vscode
- vs code
- IOS
- MAC
- 독산시대
- 윈도우
- Qt Creator
- 중곡동
- 명령어
- mariad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