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lutter pub add "패키지명" -> ex : flutter pub add get (getx 패키지 추가 명령어) 2) flutter pub get -> pubspec.yaml에 추가한 패키지 설치하는 명령어 3) flutter doctor -> flutter 개발환경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4) flutter clean -> 뭔가 이상하다 싶으면 한번씩(?) 5) flutter devices -> 개발가능한 디바이스 리스트 (ex:android, windows...) 6) flutter --version -> 버전 확인, dart 버전 확인은 "dart --version" 7)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 flutter doctor 했는데 An..
Warning: Mapping new ns http://schemas.android.com/repository/android/common/02 to old ns http://schemas.android.com/repository/android/common/01 ... 프로젝트의 android/build.gradle 파일 수정 (2022/02/18 기준) classpath 'com.android.tools.build:gradle:7.0.2' 프로젝트의 gradle-wrapper.properties 파일 수정(2022/02/18기준)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7.0.2-all.zip
※ console(cmd) Windows Terminal기반, VS Code 사용 1. 프로젝트 만들 폴더로 이동 2. flutter create --org "서비스명으로 사용할 이름" --platforms "지원할 플랫폼" "프로젝트명 -> ex : flutter create --org com.blahblah.com --platforms android,ios test_project 3. 만들어진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 ex : cd test_project 4. VS Code로 프로젝트 실행 : code . (쩜까지 쳐야 함) 아직 외우지를 못해서 정리 차원에서 올려놓음
- Total
- Today
- Yesterday
- 몽고DB
- GIT
- electron
- mariadb
- Qt Creator
- tip
- 맥
- 스마트포토
- flutter_launcher_icons
- 명령어
- EC2
- CentOS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NPM
- MAC
- 단축키
- 윈도우
- prebuilt
- Android
- IOS
- flutter
- windows
- portrait
- RDS
- vscode
- 독산시대
- 중곡동
- nodejs
- AWS
- vs cod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